60세 이후, 혼자 있을 때 심장마비가 왔다면? 반드시 해야 할 행동
2025. 9. 28. 12:36ㆍ카테고리 없음
심장마비 이렇게 하면 살 수 있습니다
심장마비는 갑자기 오지만 신호는 미리 옵니다. 문제는 우리가 그 신호를 놓친다는 것. 아래 내용을 즐겨찾기해 두고, 가족 단톡방에도 꼭 공유하세요. 의료 조언이 아닌 일반 정보이며, 증상 시 즉시 119 신고가 우선입니다.
1) 이런 전조 신호를 기억하세요
- 가슴 중앙을 짓누르는 통증(15분 이상)
- 통증이 왼팔·턱·등·명치로 번짐
- 호흡 곤란, 계단 오를 때 유난히 숨참
- 식은땀, 극심한 피로, 어지럼/실신 느낌
- 메스꺼움·소화불량(특히 여성/당뇨 환자)
- 밤에 숨이 막혀 베개를 높여야 잠이 듦
- 발목·종아리 붓기, 맥박이 불규칙함
→ 하나라도 해당되면 “지켜보기” 금지. 지금 행동이 생사를 가릅니다.
2) 혼자 있을 때 7단계 응급 대처법
- 즉시 멈추기
하던 동작 중단. 안전한 곳에 앉거나 누워 심장 부담을 줄입니다. - 처방약이 있다면 올바르게 복용
니트로글리세린: 혀 밑에 놓고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복용(최대 3회, 5분 간격).
아스피린 평소 복용자: 씹어서 복용(알레르기/위궤양자는 금지). - 곧장 119
“혼자 있고, 심장마비 의심. 가슴통증·호흡곤란. 주소 ○○동 ○○번지.”
_발현 시각/기저질환/복용약_을 짧게 알립니다. - 현관문 열어두기
의식 잃어도 바로 구조받게 공동현관 비번까지 알려 주세요. - 자세 잡기
반누 운 자세(상체 30~45도) 또는 눕고 무릎 밑 쿠션. 조이는 옷 풀기. - 연락 1~2명
가족·이웃 한두 명에게만 간단히 알림(체력 아끼기). - 호흡 유지
코 4초 들숨 → 입 6초 날숨(4–6 호흡). 토할 땐 머리 옆으로. 물·음식 금지.
금지: 서성거림, 계단 오르내리기, 의자 끝에 자리/난간에 앉기.
3) 골든타임을 위한 사전 준비
- 휴대폰 의료정보/긴급연락처 등록(혈액형·복용약·질환).
- 응급 키트: 니트로글리세린, 아스피린(해당자), 혈압계를 침실/거실/화장실에.
- 약 리스트 카드를 지갑/폰 케이스에.
- 독거 어르신은 안부 알림 약속(이웃·가족과 하루 1회).
4) 재발 방지 생활 처방
- 식사: 짠맛 줄이기, 가공식품·튀김 최소화. 등푸른 생선·견과·토마토·양파 자주.
- 운동: 말하며 걸을 수 있는 속도로 하루 30–40분, 주 3–5회.
(처음엔 10분부터 시작 → 5분씩 증량) - 습관: 금연·절주, 7–8시간 수면, 스트레스 완화(호흡·명상·노래/동호회).
- 검진: 혈압·혈당·지질 정기 체크, 가족력 있으면 더 일찍·자주.
5) 체크리스트(저장해 두고 매일 체크)
- 오늘 1시간 이상 연속 앉지 않았다(중간에 3분 걷기).
- 물 6–8컵을 나누어 마셨다.
- 짠 반찬/국물을 한 번 덜 먹었다.
- 가슴 불편·숨참·피로 변화 기록했다.
- 약·검진 일정 확인했다.
기억할 한 줄
심장마비는 지식·준비·즉각 행동으로 생존 확률을 바꿀 수 있습니다.
혼자 있어도, 순서만 지키면 이길 수 있습니다.